tailscale 설정

2025. 4. 13. 11:03·Project/BackOffice

앞서 오라클 서버구축을 완료하고 보안에 신경을 써야한다.

 

작년에 학원에서 알게 된 동생이 개인 서버가 있었는데 프로젝트 기간동안 계속 해킹시도를 당했어서 보안은 특히 신경을 써야한다고 했다.

 

그에따라 필자는 Tailscale을 사용했고 22번포트를 없애고 진행했다.

 

Tailscale이란?

  • WireGuard 기반의 VPN 서비스이다.
  • 복잡한 방화벽 설정이나 포트 포워딩 없이도,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장비들을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게 해주는 툴이다.
  • 쉽게 말하면, 집, 회사, 클라우드 서버 등의 기기들을 마치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것처럼 연결해 준다.

자세한 개념까지는 이해하지 못했지만..? 서버를 만든 공인IP로 접속하지않고도 vpn을 통해서 가상의 포트번호로 접속이 가능하다.

 

우선 맥북에 home brew를 통해서 tailscale을 설치한다.

 

만들어놓은 우분투 서버에도 접속한다음 tailscale을 설치한다.

 

두 곳 다 같은 계정으로 로그인을 진행

 

이후에 오라클 클라우드에서 22번 포트를 지우는 방식으로 진행하였고 앞으로는 tailscale를 통해서 가상의 포트번호로만 접근이 가능하다.

 

tailscale status를 찍어보면 내가 만든 서버가 잘 뜬다. 이후에는 키값을 통하여 접근하여서 서버에 들어갈 수 있다.

'Project > BackOffi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itext-pdf적용해보기  (0) 2025.05.11
BackOffice 프로젝트 현재 상황  (1) 2025.05.07
postgreSQL binding exception  (0) 2025.04.15
오라클 유료계정 전환 및 서버생성  (0) 2025.04.11
'Project/BackOffi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Java itext-pdf적용해보기
  • BackOffice 프로젝트 현재 상황
  • postgreSQL binding exception
  • 오라클 유료계정 전환 및 서버생성
hankyungtory
hankyungtory
기록이 정답이다.
  • hankyungtory
    한경이의 개발 일지
    hankyungtory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 Study
        • Java
        • DataBase
        • Error
        • Linux
      • Project
        • STOOCK
        • BackOffice
  • 블로그 메뉴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SecurityConfig
      java
      서블릿
      mybatis
      react
      spring
      서버
      WAS
      SMTP
      톰캣
      servlet
      컨테이너
      container
      build
      소셜로그인
      자바
      war
      에러
      wrapper
      error
      spring boot
      tomcat
      server
      폼로그인
      springboot
      개발
      내장톰캣
      서블릿컨테이너
      스프링부트
      jwt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hankyungtory
    tailscale 설정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